구글 애널리틱스(Google Analytics)용어정리
분석 및 측정, 퍼포먼스 마케팅이 중요한 요즘, 구글 애널리틱스는 어는 순간부터 기업의 비즈니스 성장을 위한 필 수 분석 툴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구글 애널리틱스에서 제공해주는 다양한 지표의 용어를 이해하지 못한다면 분석하는데도 상당한 애로사항이 발생하게 될 텐데요. 오늘은 구글 애널리틱스에서 주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용자 (Users)
- 방문을 측정하는 기본 지표로 다른 툴에서 말하는 UV(Unique Visitor)와 의미가 동일하다
- 조회 기간의 ‘사람’수가 측정된다고 이해할 수 있으며 영어로는 User로 표현된다.
- 동일한 사람이 조회 기간內 다수 방문해도 중복이 제거되기 때문에 수치는 한 번만 카운팅 된다.
- 쿠키는 브라우저 별로 발행되며 쿠키를 강제로 삭제 후 방문 시 신규 사용자로 인식한다.
새로운 세션 (%New Sessions)
- 최초 방문의 예상 비율
- 전체 세션 중 신규 방문자가 발생시킨 세션수의 %를 의미
- 신규 유저가 사이트에 얼마 만큼의 비율로 방문하는지 확인할 수 있는 비율
세션 (Sessions)
- 세션이란 일정한 기간 내에 웹 사이트에서 발생한 상호 작용의 집합을 의미함
- 방문자가 접속 후 30분 동안 아무런 액션이 없는 경우 세션은 종료된다.
- 세션 만료 시간은 설정에서 조정할 수 있으며 동영상 중심의 사이트에서 콘텐츠의 재생 시간이 30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세션 시간을 30분 보다 길게 수정할 필요가 있음
- ex) 동영상 콘텐츠 1개 당 런닝 타임이 평균 30분을 초과하는 경우
페이지뷰 수 (Pageviews)
- 사이트에서 애널리틱스 추적 코드가 추적하는 페이지의 조회수
- 사용자가 페이지에 도달한 후 새로고침 버튼을 클릭하면 추가 페이지뷰 발생
- 사용자가 다른 페이지를 탐색한 후 다시 원래 페이지로 돌아올 경우에도 새로운 페이지뷰로 기록
- 사용자, 세션과 달리 페이지뷰 수는 중복 측정이 발생하지 않음
세션 당 페이지 수 (Pages / Session)
- 세션 당 페이지 수(평균 방문심도)는 세션 동안 조회된 평균 페이지 수
- 한 페이지를 반복적으로 조회한 수도 집계에 포함
- 방문자들이 사이트에 방문하여 평균적으로 보여지는 페이지 수
- 세션 당 페이지수를 통해 사이트를 한번 방문하면 몇 개의 페이지를 보는가를 나타내는 평균 수치
평균 세션 시간 (Avg. Session Duration)
- 한 세션의 평균 길이
- 방문자들이 사이트에 머문 평균 시간
- 평균 세션 시간 지표 확인을 통해 방문자들이 평균적으로 얼마나 체류하는지 알 수 있음
- 유저에게 다양한 컨텐츠와 정보를 제공하게 되면 평균 세션 시간은 길어짐
- 단, 잘못된 마케팅 타겟팅으로 인해, 불 필요 정보만 있다면 평균 세션 시간 길이는 짧아질 수 있음
이탈률 (Bounce Rate)
- 사이트 접속 이후 액션이 발생하지 않고 이탈한 비율이며, 다른 의미로 반송율이라고 함
- 이탈률이 높다는 것은 사이트 컨텐츠의 흡입력이 약하다는 것을 의미함
- 이상적인 수치는 약 20% 내외로 브랜드 인지도가 낮고 광고 트래픽이 많은 경우 이탈률이 높음
- 이탈률%(Exit Rate)는 접속 후 액션 여부와 상관 없이 해당 페이지에서 이탈한 비율을 의미함
TagMan ©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