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ger Script

소스/태그/픽셀 코드 이해하기

소스/태그/픽셀 코드 이해하기

2017년 12월 18일 TagMan Blog 0

소스(Source)/태그(Tag)/픽셀(Pixel Code) 코드 이해하기

소스 코드(Source Code)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람이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래밍 언어로 기술한 글을 말합니다. 한 개, 또는 여러 개의 텍스트 파일로 구성되어 있으며 현대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기계어는 극히 일부 영역에서만 쓰이며, 대부분 고급 언어로 된 소스 코드를 컴파일 하여 개발합니다. 소프트웨어와 이에 동반하는 소스 코드는 일반적으로 크게 자유 소프트웨어와 사유 소프트웨어 가운데 하나의 라이선스를 지니고 있습니다.

 

태그(Tag) 또는 픽셀 코드(Pixel Code)

태그 또는 픽셀 코드는 유저들의 행동을 파악하여 추적할 수 있게 도와주는 도구로서, 일련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만들어져 있고, 웹사이트를 표현하는 HTML 소스코드 안이나 모바일앱내 SDK(프로그래밍 개발용 도구)와 함께 포함되기도 합니다.

태그나 픽셀 코드는 다소의 차이가 있겠지만 매체사별로 고유번호(ID)와 함께 발급되며 발급 된 코드를 우리 웹 사이트(매체사별 양식 가이드 참조)에 삽입하게 되면 기본적인 정보를 추적할 수 있습니다.

태그와 픽셀의 차이는?

태그(Tag) 또는 픽셀(Pixel)이란 온라인에서 방문자의 구매여정의 전반적인 추적은 물론, 사이트내에서 세부적인 스크롤, 클릭, 항목입력, 장바구니, 구매등의 활동을 추적하고 분석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점에서는 동일합니다만, 태그는 프로그램 코드라는 의미에서 많이 선택된 용어이고, 픽셀(Pixel)은 방문자를 추적하기 위해서 1×1 픽셀 크기의 투명 이미지를 HTML등 코드에 넣어온 것에서 유래했습니다.

흔히 웹분석 쪽에서는 Tag의 용어가 많이 사용되고, 페이스북의 광고성과 추적과 같이 광고쪽에서는 Pixel 이 많이 사용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미지 : 구글 태그관리자(매니저)에서 Tag를 적용/입력하는 화

이벤트 코드(Event Code)

  • 이벤트 코드는 픽셀 코드안에 포함되며 특정 이벤트 코드를 통해 추적 및 전환, 성과/측정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비즈니스 목표에 맞게 전략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예시)

장바구니 담기를 이용하는 유저들을 추적하고 싶을 때 -> 장바구니 담기 버튼 및 랜딩페이지

구매 또는 체크아웃하는 유저들을 추적하고 싶을 때-> “감사합니다” 또는 확인 페이지 이동

이벤트 코드 예시)

 

(C) TagMan